올림픽대회를 봐도,
수영 중계방송을 봐도,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봐도,
어디에도 흑인 수영선수는 본적이 없는 거 같다.
왜 수영 종목에서 흑인을 찾아볼 수가 없는 걸까?


흑인 수영 선수에 관한 자료를 찾아봤다.
88서울올림픽에서 안소니 네스티(남자 접영 100m)가 흑인 최초의 수영
금메달 리스트이며 유일한 사례였다.


이후 시드니와 북경 올림픽에서 흑인 혼혈(앤서니 어빈)과 400계주(컬런 존스)에서
금메달을 포함하여도 세 개뿐이였다.

세계적인 흑인 수영선수를 잘 볼 수 없는 이유에 대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가설이 있지만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는 않다.


가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한 측면의 "흑인은유전적으로 신체 밀도(근육 및 뼈)가 높기 때문에 낮은 부력(浮力)
작용으로 수영경기에 불리하다"고 보는 견해와 다른 측면은 "사회적 혹은 경제적 차별 때문에
백인에 비해 수영종목에 참여기회 자체가 적다"는 견해로 구분할 수 있었다.


◆ 흑인과 백인의 신체 밀도차이


신체의 밀도는 부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영 경기력을 설명할 때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제지방(근육 및 뼈)과 지방의 밀도는 각각 1.1g/㎖와 0.9g/㎖로 물의 밀도(4℃에서 1g/㎖)와 
 

비교한다면 지방은 물에 뜨고 제지방은 물에 가라앉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흑인은 백인에 비해서 근육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물에 뜨는데 불리하다는 것이다.


또한 인종간 비교된 골밀도 수치는 흑인, 황인, 백인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도 백인,
황인 그리고 흑인 순의 금메달 개수를 인종별 신체밀도에 따른 차이를 지지하고 있다.


◆ 흑인에 대한 사회 경제적 편파성


세계적인 흑인 수영 선수가 잘 나타나지 않는 현상에 대하여 흑인에 편파적인 사회 및
경제적 여건 때문으로 이유를 붙일 수 있다. 우선 수영은 수영장이라는 인프라가 필요하며
어릴 때부터 기술을 습득해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이 요구되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제력을 가진 흑인의 저변이 넓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흑인의 실내 수영장 출입에 대한 편견도 흑인들로 하여금 발걸음을 돌리게 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흑인의 경우 동일한 조건이라면 수영보다는 농구나 육상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위의 두 가설 중에서 어느 쪽이 더 설득력을 갖고 있을까?


정답은 없지만, 나는 후자 쪽에 무게를 두고 싶고 그랬으면 좋겠다.

백인이 물에 잘 뜨는 신체를 타고난다면 우리 역시 제 2의 박태환 선수를 만드는데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지 않을까?


시간이 조금 지나긴 했지만 뉴욕 브루클린 출신의 14세의 흑인 소녀 리아 닐이 지난 북경 올림픽에
미국 국가대표 최종선발전에 출전하게 되었다는 뉴욕타임스 스포츠면 1면 기사는 흥미롭다.
169cm의 신장에 성인선수를 능가하는 기록으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은 흑인이라도 백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 아닐까?


1990년 소박과 하워즈는 한명의 수영선수를 86년부터 90년까지 4년간 피하지방과 근육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합 전에 인체측정을 통하여 신체구성성분변화와 경기기록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 선수가 두 차례의 세계최고기록을 수립하였는데
그 당시 몸 상태는 피하 지방량이 많은 경우는 아니었다.


그렇다고 근육량이 많은 시기도 역시 아니었다.

세계최고기록은 근육량과 지방량의 밸런스가 적정한 시점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근육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한 근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신체밀도가 높아 낮은 부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며,
반대로 지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부력이 높아 물에 잘 뜰 수는 있지만 수영에서 필요한
근지구력 혹은 근력을 발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박태환 선수를 시작으로 수영 종목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인적, 그리고 물적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수영이 백인들에게만 유리한 종목이라면 투자의 필요성이 없겠지만,
필요한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스포츠과학을 접목한 체계적인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6] 송정석 2023.02.05
4376 등급 빨리 해주세요 박효성 2007.02.24
4375 정보 감사합니다 박효성 2007.02.24
4374 멋진 자료 감사 박효성 2007.02.24
4373 자격증 자료 더 보고 싶어요 박효성 2007.02.24
4372 포인트가 있는데 다운이 안됩니다... [1] 윤태일 2007.02.24
4371 늦었지만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하시는일 모두다 잘되시길 바랍니다.*^^* [1] 이동훈 2007.02.24
4370 안녕하세요. 김흥록 2007.02.26
4369 메인페이지에 고압살수차 멋있네염... 박종국 2007.02.26
4368 자료를 열기만해도 10점이 빠져나가네염... 박종국 2007.02.26
4367 어제 기술사시험 잘 보셨나염... [1] 박종국 2007.02.26
4366 좋은 자료들을 보고 정말 놀라워요. 이우일 2007.02.27
4365 가입인사 정순재 2007.02.28
4364 오늘도구경만하고가네여... 김종규 2007.03.04
4363 안녕하세요~!! 박래혁 2007.03.04
4362 가입인사 [1] 오세원 2007.03.05
4361 가입인사 [1] 김경주 2007.03.06
4360 가입후 첫 사용수기 [1] 이국영 2007.03.06
4359 언제나 감솨~ 홍주혜 2007.03.06
4358 감사합니다. [1] 김상진 2007.03.06
4357 좋은 하루 보내셨나요 ^^; [1] 유창화 2007.03.06
4356 가입인사 및 추가내용 [2] 신용성 2007.03.06
4355 가입인사... 정영석 2007.03.07
4354 가입인사올림니다 전제봉 2007.03.07
4353 시험 전제봉 2007.03.07
4352 감솨!해요 [1] 이우일 2007.03.07
4351 가입인사~~ [1] 김선영 2007.03.08
4350 가입인사 올립니다 [1] 김동재 2007.03.08
4349 꼭 포인트 때문은 아니구.. ㅋ [2] 김환우 2007.03.08
4348 가입인사... [1] 김명준 2007.03.08
4347 안돼요 [1] 김흥록 2007.03.08
4346 포인트점수 [1] 김흥록 2007.03.08
4345 다운이안되네요 [1] 이호세 2007.03.09
4344 좋은 자료가 많아서 열공할께요... 이남미 2007.03.10
4343 주인장님의 열정에 반했습니다. [1] 공민식 2007.03.11
4342 철도기술사(1)은 왜 자료 다운이 안되나요?? [1] 공민식 2007.03.11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