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슬랙의 의의

차량이 곡선을 통과하는 상태를 고려할 때 차량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주행하기 위해서는 차축이 곡선의 중심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량의 차축중에 적어도 2축이 대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곡선통과 시에 그 어느 것이 한쪽 또는 양쪽 모두 궤도와 직각으로 될 수는 없다. 따라서, 차륜은 레일과 어떤 각도로 접촉하면서 진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차축의 간격이 클수록 차륜이 레일에 닿는 각도가 크게된다.

이 때의 차축 간격을 고정 축거라 한다. 고정 축거는 너무 작아도 차량동요가 크게 되지만,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방금 기술한 것처럼 곡선을 통과할 때 차륜이 레일에 닿는 각도가 크게되어 서로 삐걱거려 원활하게 주행할 수가 없게 된다.

그 결과, 차량의 동요, 횡압이 증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보수의 면세서도 궤간, 줄 틀림(방향 변위)의 증가, 더욱이 레일마모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그래서, 이들의 문제를 될 수 있는 한 완화시키기 위하여 곡선에서는 곡선반경의 대소에 따라서 직선보다 궤간을 약간 확대하고 있다. 곡선에서 이 궤간의 확대를 슬랙(slack)이라 한다.

① 원곡선에는 선로의 곡선반경 및 차량의 고정축거 등을 고려하여 궤도에 과대한 횡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랙을 두어야 한다. 다만, 곡선반경이 큰 경우나 차량의 고정축거가 짧은 경우 및 그 밖에 궤도에 과대한 횡압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② 슬랙은 차량의 고정축거 등을 고려하여, 열차의 안전한 주행에 영향을 미칠우려가 없도록 체감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2. 슬랙의 설치

곡선반경 300m 이하인 곡선구간의 궤도에는 다음 계산식 또는 슬랙표에 따라 슬랙을 두어야 하며, 슬랙은 곡선의 외측레일을 기준으로 안쪽 레일을 확대하여 붙인다.

곡선반경 300m 초과의 곡선이라 할지라도 필요에 따라 4mm까지 슬랙을 붙일 수 있다. 다만, 슬랙은 30mm 이하로 한다


1. 계산식

S = 2,400 / R - S' (S'=0~15)

S=슬랙(mm), R=곡선반경(m), S'=조정치)mm)


2. 슬랙표                                                        [단위 : mm]

곡선반경(m) 

 S 

곡선반경(m) 

 S

최소(S'=15)

최대(S'=0) 

최소(S'=15) 

최대(S'=0) 

 90~120

 12

 27

 190~209

 0

 13

 120~169

 5

 20

 210~249

 0

 11

 170~189

 0

 14

 250~300

 0

 9



3. 슬랙의 체감

① 완화곡선이 있는 경우에는 완화곡선 전체의 길이에서 체감한다.

②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에는 캔트의 체감길이와 같은 길이로 하고, 캔트가 없는 경우에는 원곡선 양단으로부터 직선구간에 각각 4m로 한다.

③ 복심곡선안의 경우에는 두곡선 사이 캔트차이의 600배 이상 길이에서 체감하며, 이 경우 두 곡선사이의 슬랙의 차이를 체감하되 곡선반경이 큰 곡선에서 체감한다.


출처 : 한국철도시설공단 '선로유지관리지침'(2015.03.19. 개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3026 2010년도 상반기 모터카(MC9704)탈선복구 훈련 [3] 송정석 2010.05.23
3025 2016년도 한국철도공사 NCS 직무능력 기출문제 (대졸) [23] 송정석 2018.03.05
3024 2017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결과 공표 [1] 송정석 2018.09.19
3023 2017년도 한국철도공사 NCS 직무능력 기출문제 (대졸) [44] 송정석 2018.03.05
3022 21C 교통환경변화에 따른 철도기술 발전방향 (1) [2] 송정석 2009.02.21
3021 21C 교통환경변화에 따른 철도기술 발전방향 (2) 송정석 2009.02.21
3020 21C 교통환경변화에 따른 철도기술 발전방향 (3) 송정석 2009.02.21
3019 21C 교통환경변화에 따른 철도기술 발전방향 (4) [3] 송정석 2009.02.21
3018 21세기 국가철도망구축 기본계획 [7] 서명렬 2006.06.14
3017 21세기 철도기술의 개발과제 [3] 송정석 2007.02.02
3016 21세기 친환경 도시 신교통시스템 소개 [1] 송정석 2008.08.30
3015 2단계경쟁입찰과 규격(기술)가격분리동시입찰 차이점 송정석 2020.02.04
3014 2종작업 동영상 [8] 라이온 2024.03.21
3013 2중스프링와셔 및 나사스파이크(용융아연도금용) [2] 송정석 2018.08.22
3012 2차 전지 [1] 박재흥 2009.03.03
3011 300km 고속열차 주행을 위한 궤도기술 [1] 송정석 2019.03.10
3010 3차 포물선 구하는 공식 [9] 김성종 2008.04.30
3009 3차원포물선 계산공식입니다 [32] 김두천 2006.06.01
3008 3차포물선 엑셀로 계산한 화일임. [22] 류중렬 2009.12.03
3007 4차 산업혁명과 경전철 시스템 [1] 송정석 2018.04.10
3006 4차 산업혁명과 경전철 시스템 (동명기술공단) [9] 송정석 2018.04.18
3005 50KG NS 분기기의 제원 및 탄성분기기 제원 [15] 송정석 2010.05.21
3004 50kg NSI PC침목 분기기 개발 (삼표 E&C) [5] 송정석 2008.05.01
3003 50kg NSI PC침목 개발 (삼표 E&C) [2] 송정석 2016.12.04
3002 50kg NSI PC침목 분기기 개발 [1] 송정석 2009.02.15
3001 50kg NSI PC침목 분기기 개발 [2] 송정석 2012.03.02
3000 50kg NSI PC침목 분기기 개발 송정석 2015.10.30
2999 50kg ns분기기 공사규격서입니다 [4] 수라이스 2023.07.14
2998 50KG 탄성분기 참고도 [2] 이기섭 2009.04.30
2997 50kg, 60kg, UIC60 선로용품 도면 총 362쪽으로 구성 (한국철도시설공단) [23] 송정석 2016.08.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