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o 궤도 구조중 분기부는 이음매부, 곡선부와 함께 궤도의 3대 취약부의 하나로서 속도제한의 요소가 되므로 고속전철에서
       고속운행에 장애 부분이다.
    o 따라서 고속전철의 분기부에는 고속주행을 할 수 있는 선형과 노반조건 및 분기장치에 따른 충분한 대처가 필요하다.
2
2. 분기부의 문제점
    o 직선측
       - 포인트부의 텅레일단면이 일반레일보다 작다.
       - 포인트부의 대향진입시 텅레일에서 충격이 심함.
       - 관절포인트 분기에서 힐 이음매가 느슨함.
       - 크로싱에는 노즈 결선부가 있어 충격과 진동이 유발된다.
       - 크로싱의 가드레일부 통과시 차량 프랜지가 충격을 받는다.
       - 분기기 전단, 리드부에 결쳐 슬랙 체감이 있다.
    o 분기측
       - 포인트의 입사각으로 원활통행을 저해한다.
       - 슬랙이 불충분하고 체감이 급하다.
       -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캔트가 없다.
       - 분기부는 소반경의 분기부 대곡선이 있으나, 완화곡선이 있다.
       - 분기내 곡선과 분기후방과의 사이에 직선장이 짧다.
2
3. 분기부의 대책
    o 선형
       - 구배 3/1000 초과시는 분기부설금지
       - 분기기내에서는 곡선 및 종곡선 금지
       - 교대후면, 터널입구, 노반지지력이 낮은 곳으로부터 30M 이내 부설금지
    o 분기장치
       - 기준선측
          · 포인트부는 최신 설계방법인 운동역학적 선형최적화 기법을 도입하여 차량의 원활주행 도모
          · 포인트부는 관절식을 쓰지않고 탄성 포인트 사용
          · 분기기내 레일 연결부분은 모두 용접하여 접착식 절연레일화 하여 이음매 제거
          · 배면횡압강도가 크고 후렌지 웨이 폭 조정이 가능한 H형 가드 설치 검토
          · 크로싱과 차륜의 정비한도 강력규제
       - 분기선측
          · 분기기의 고번화로 속도향상(#65번, 200Km/h)
          · 분기각은 극소화하고, LEAD 반경은 극대화
          · 곡선 크로싱 사용 검토(10-20Km/h)
       - 건넘선
          · 고속분기기 채택으로 통과속도 향상(#45, 160Km/h)
          · 리드 곡선반경을 크게 하고 원곡선을 접속하는 POINT 부와 분기기 후부 등에 완화곡선 삽입
2
4. 결   론
    o 고속전철의 경우에는 고속운전에 장애가 있는 분기부의 분기장치를 고번화, 탄성분 POINT화, 가동 NOSE화 , 망간으로 강화
    o 인접 연결 레일부분도 용접처리하여, 측선측이나 건넘선에도 곡선반경을 최대한 크게 하여 원활한 주행 확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64 알기쉬운 철도용어 해설집 [19] 송정석 2012.04.24
63 심플 커티너리(Simple Catenary) [6] 송정석 2009.09.11
62 슬랙의 최대치 30mm 및 조정치 S' (0∼15mm) 값의 근거는 ? [39] 송정석 2009.07.17
61 슬랙의 최대치 30mm 및 조정치 S' (0∼15mm) 값의 근거는 ? [42] 송정석 2009.07.17
60 슬랙량의 축소 효과 [21] 송정석 2011.07.22
59 슬랙(slack) [19] 송정석 2018.09.26
58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57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56 쉘링(shelling) [19] 송정석 2011.05.11
55 쉐링(shelling) [21] 송정석 2011.05.11
54 선형설계의 개요 (평면,종단,궤도,경합조건) [32] 송정석 2007.02.24
53 선로와 궤도 용어의 뜻 [2] 송정석 2016.08.19
52 선로관리와 궤도품질 (3-1) [11] 송정석 2006.08.27
51 선로, 궤도의 정의 [2] 송정석 2018.04.25
50 사장식(교차식) 곡선정정 [29] 송정석 2007.04.22
49 사장식(교차식) 곡선정정 [25] 송정석 2007.04.22
48 분기기의 슬랙과 캔트 송정석 2016.08.20
47 분기기 [35] 송정석 2015.10.05
46 부산교통공사 슬랙(Slack) 적용 [16] 송정석 2006.05.28
45 복진이란 [16] 송정석 2006.08.16
44 보통레일과 열처리레일 구분하는 방법 [23] 송정석 2012.03.03
43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18] 송정석 2010.06.15
42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20] 송정석 2010.06.15
41 백게이지 [5] 송정석 2019.09.09
40 망간크로싱 특징 및 상판부설 위치 [22] 송정석 2006.10.19
39 레일은 1/40로 경사지게 부설한다. ! ? [14] 송정석 2010.05.24
38 도상자갈에 탄성은 있는가?....... 결론은 "없다" [9] 송정석 2010.05.22
37 도상계수 : 궤도역학에서 도상의 강도를 표시하는 계수 [1] 송정석 2016.08.22
36 도상계수 [10] 송정석 2009.07.17
35 델타선과 루프선 [10] 송정석 2009.08.30
34 궤도역학에 관한 자료입니다 (총 209페이지) [42] 송정석 2016.10.09
33 궤도역학(209쪽) [3] 송정석 2015.04.04
32 궤도역학 (요점) [27] 송정석 2010.06.15
31 궤도역학 (요점) [37] 송정석 2010.06.15
» 궤도구조중 분기부의 문제점과 고속전철의 분기설치 대책 [11] 송정석 2012.07.0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