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경화란 변형경화라고도 한다. 금속의 경도는 변형의 정도에 따라 커지며, 어느 가공도 이상에서는 일정해진다.
인장시험의 응력(변형력) - 변형률 그래프에서, 탄성한계의 끝인 항복점에서는 미끄럼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끝나면 그 이상의 응력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을 보인다.

이러한 가공경화가 일어난 부분을 가공경화층이라 하며, 이 부분에 해당하는 응력이 가해진 재료는 원재료보다 탄성한계나 항복점이 높아져 소성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단단한 성질을 보이게 된다.

특히 레일과 같이 하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에서 나타나게 되며, 조직은 탈탄층과 유사한 페라이트조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조직이 심부의 조직과 달리 미새하게 되어 경도값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내마모성에서 약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균열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 강도와 경도의 강화
- 취성 성질로 변형
- 내 마모성의 약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28 철도공학(기본요약정리) [20] 송정석 2011.09.13
27 철도공학(기초요점) : 25쪽 [40] 송정석 2006.11.26
26 철도공학(캔트) [15] 송정석 2008.10.13
25 철도공학(캔트) [42] 송정석 2011.03.21
24 철도공학개론(철도차량부문) [13] 송정석 2015.05.16
23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1장 총론 [7] 송정석 2012.09.03
22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2장 궤도구조 및 궤도재료 [7] 송정석 2012.09.03
21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3장 레일 [9] 송정석 2012.09.03
20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4장 침목 [10] 송정석 2012.09.03
19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5장 도상자갈 [8] 송정석 2012.09.03
18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6장 분기기 [11] 송정석 2012.09.03
17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7장 이음매와 레일체결장치 [7] 송정석 2012.09.03
16 철도보선(상) : 안용모, 2005년도 [4] 송정석 2021.10.25
15 철도선로(鐵道線路) (2-1) [8] 송정석 2007.12.23
14 철도선로(鐵道線路) (2-2) [9] 송정석 2007.12.25
13 철도시스템 공학(1장_철도일반) [10] 박재흥 2007.09.27
12 철도시스템 공학(2장_철도건설) [9] 박재흥 2007.09.27
11 철도시스템공학(3장_선로구조물) [9] 박재흥 2007.09.27
10 철도의 이해 1장 [7] 박재흥 2007.09.27
9 철도의 이해 2장 철도시스템의 구성 [10] 박재흥 2007.09.27
8 캔트(cant) [21] 송정석 2020.12.30
7 캔트(Cant) 요점정리 및 철도기술사에 출제된 기출문제 수록 [46] 송정석 2011.03.21
6 콘크리트궤도 설명자료 [10] 송정석 2013.08.03
5 탄성분기기 제원 및 종거측정 [18] 송정석 2011.07.07
4 파괴계수 [8] 송정석 2009.07.17
3 표정속도(제90회 철도기술사 기출문제) [6] 송정석 2010.02.23
2 현대철도의 이해 (제1장 철도와 수송) [12] 덕고 2016.08.05
1 현대철도의 이해(제2장 철도시스템의 구성) [14] 덕고 2016.08.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