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경화란 변형경화라고도 한다. 금속의 경도는 변형의 정도에 따라 커지며, 어느 가공도 이상에서는 일정해진다.
인장시험의 응력(변형력) - 변형률 그래프에서, 탄성한계의 끝인 항복점에서는 미끄럼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끝나면 그 이상의 응력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을 보인다.

이러한 가공경화가 일어난 부분을 가공경화층이라 하며, 이 부분에 해당하는 응력이 가해진 재료는 원재료보다 탄성한계나 항복점이 높아져 소성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단단한 성질을 보이게 된다.

특히 레일과 같이 하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에서 나타나게 되며, 조직은 탈탄층과 유사한 페라이트조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조직이 심부의 조직과 달리 미새하게 되어 경도값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내마모성에서 약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균열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 강도와 경도의 강화
- 취성 성질로 변형
- 내 마모성의 약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98 철도공학 궤도재료 (침목편) [5] 송정석 2013.05.08
97 철도공학 궤도계수 [7] 송정석 2009.07.17
96 철도공학 : 제9장 장대레일 (요점정리) [16] 송정석 2012.07.19
95 철도공학 (요점) [140] 송정석 2006.07.01
94 철도공학 (요점) [54] 송정석 2010.06.15
93 철도공학 (요점) [104] 송정석 2010.06.15
92 철도공학 ( 3 5 9 쪽 ) [159] 송정석 2006.07.01
91 철도공학 ( 1∼359쪽 ) [106] 송정석 2006.07.01
90 철도공학 ( 1 ∼ 359 쪽 ) [106] 송정석 2006.07.01
89 철도공학 "궤도역학" 요점정리 및 예상문제 [29] 송정석 2011.02.28
88 철도공학 제1장 : 총론 [16] 송정석 2008.01.29
87 철도건설규칙 제2장 선로 (요약정리) [7] 송정석 2007.12.28
86 철도건설규칙 제12조(슬랙) 해설 [5] 송정석 2020.08.22
85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84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83 제5장 궤도역학 [16] 송정석 2010.12.11
82 제5장 궤도역학 [11] 송정석 2008.01.01
81 제3궤조(Third rail) [2] 송정석 2015.09.22
80 제3 레일 급전방식(제3 궤조식) [7] 송정석 2009.10.18
79 장대레일의 부설 및 보수기준 (일본자료번역) [12] 송정석 2006.09.16
78 장대레일의 관리 [20] 송정석 2006.06.07
77 장대레일, 장대레일의 기본이론 [16] 송정석 2015.11.06
76 장대레일(강태구) [32] 송정석 2012.07.21
75 장대레일 재설정관련 공식 정리 [11] 송정석 2007.04.11
74 장대레일 재설정관련 공식 정리 [19] 송정석 2007.04.11
73 장대레일 이론 공식 정리 [14] 송정석 2007.04.11
72 장대레일 이론 공식 정리 [17] 송정석 2007.04.11
71 장대레일 요점정리 및 문제풀이 [4] 송정석 2020.10.09
70 장대레일 요약 [12] 송정석 2007.10.02
69 장대레일 (보선기사 대비 총정리) [16] 송정석 2008.03.19
68 장대레일 [24] 송정석 2008.10.30
67 일본철도 시설협회지 번역본 자료입니다. [8] 송정석 2016.08.27
66 용어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 송정석 2010.12.04
65 용어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8] 송정석 2010.12.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