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대회를 봐도,
수영 중계방송을 봐도,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봐도,
어디에도 흑인 수영선수는 본적이 없는 거 같다.
왜 수영 종목에서 흑인을 찾아볼 수가 없는 걸까?


흑인 수영 선수에 관한 자료를 찾아봤다.
88서울올림픽에서 안소니 네스티(남자 접영 100m)가 흑인 최초의 수영
금메달 리스트이며 유일한 사례였다.


이후 시드니와 북경 올림픽에서 흑인 혼혈(앤서니 어빈)과 400계주(컬런 존스)에서
금메달을 포함하여도 세 개뿐이였다.

세계적인 흑인 수영선수를 잘 볼 수 없는 이유에 대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가설이 있지만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는 않다.


가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한 측면의 "흑인은유전적으로 신체 밀도(근육 및 뼈)가 높기 때문에 낮은 부력(浮力)
작용으로 수영경기에 불리하다"고 보는 견해와 다른 측면은 "사회적 혹은 경제적 차별 때문에
백인에 비해 수영종목에 참여기회 자체가 적다"는 견해로 구분할 수 있었다.


◆ 흑인과 백인의 신체 밀도차이


신체의 밀도는 부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영 경기력을 설명할 때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제지방(근육 및 뼈)과 지방의 밀도는 각각 1.1g/㎖와 0.9g/㎖로 물의 밀도(4℃에서 1g/㎖)와 
 

비교한다면 지방은 물에 뜨고 제지방은 물에 가라앉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흑인은 백인에 비해서 근육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물에 뜨는데 불리하다는 것이다.


또한 인종간 비교된 골밀도 수치는 흑인, 황인, 백인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도 백인,
황인 그리고 흑인 순의 금메달 개수를 인종별 신체밀도에 따른 차이를 지지하고 있다.


◆ 흑인에 대한 사회 경제적 편파성


세계적인 흑인 수영 선수가 잘 나타나지 않는 현상에 대하여 흑인에 편파적인 사회 및
경제적 여건 때문으로 이유를 붙일 수 있다. 우선 수영은 수영장이라는 인프라가 필요하며
어릴 때부터 기술을 습득해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이 요구되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제력을 가진 흑인의 저변이 넓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흑인의 실내 수영장 출입에 대한 편견도 흑인들로 하여금 발걸음을 돌리게 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흑인의 경우 동일한 조건이라면 수영보다는 농구나 육상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위의 두 가설 중에서 어느 쪽이 더 설득력을 갖고 있을까?


정답은 없지만, 나는 후자 쪽에 무게를 두고 싶고 그랬으면 좋겠다.

백인이 물에 잘 뜨는 신체를 타고난다면 우리 역시 제 2의 박태환 선수를 만드는데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지 않을까?


시간이 조금 지나긴 했지만 뉴욕 브루클린 출신의 14세의 흑인 소녀 리아 닐이 지난 북경 올림픽에
미국 국가대표 최종선발전에 출전하게 되었다는 뉴욕타임스 스포츠면 1면 기사는 흥미롭다.
169cm의 신장에 성인선수를 능가하는 기록으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은 흑인이라도 백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 아닐까?


1990년 소박과 하워즈는 한명의 수영선수를 86년부터 90년까지 4년간 피하지방과 근육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합 전에 인체측정을 통하여 신체구성성분변화와 경기기록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 선수가 두 차례의 세계최고기록을 수립하였는데
그 당시 몸 상태는 피하 지방량이 많은 경우는 아니었다.


그렇다고 근육량이 많은 시기도 역시 아니었다.

세계최고기록은 근육량과 지방량의 밸런스가 적정한 시점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근육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한 근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신체밀도가 높아 낮은 부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며,
반대로 지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부력이 높아 물에 잘 뜰 수는 있지만 수영에서 필요한
근지구력 혹은 근력을 발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박태환 선수를 시작으로 수영 종목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인적, 그리고 물적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수영이 백인들에게만 유리한 종목이라면 투자의 필요성이 없겠지만,
필요한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스포츠과학을 접목한 체계적인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6] 송정석 2023.02.05
5181 포 인 트ㅡ 주영훈 2012.11.17
5180 포 인 트ㅡ 주영훈 2012.11.17
5179 가입 인사 드립니다. [1] 백정완 2008.04.02
5178 매년 찾아오게 되네요....매년 낙방해서....ㅠㅠ자료 받으러 왔어요 이정인 2011.06.02
5177 실기풀이 부탁드립니다. [2] 장도영 2006.06.18
5176 안녕하세요~가입인사드립니다~ 최재석 2010.12.21
5175 알찬 자료축적을 위하여 3월의 힘찬 출발 박병은 2008.03.02
5174 좋은 하루 되세요... 박기호 2011.12.19
5173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박효순 2011.04.20
5172 지하철.... [1] 김윤태 2006.05.31
5171 철도기술사 교재 [4] 안우홍 2007.07.26
5170 철도기술사 시험 관련 자료 구득에 대하여... [4] 성호기 2006.11.06
5169 출석 이승환 2013.03.29
5168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16
5167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17
5166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2
5165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3
5164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4
5163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5
5162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6
5161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7
5160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28
5159 출석체크합니다 [1] 이남석 2013.04.29
5158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4.30
5157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5.01
5156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5.03
5155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5.05
5154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5.06
5153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5.07
5152 출석체크합니다 이남석 2013.05.08
5151 출석합니다. 오세권 2013.04.01
5150 출석합니다.... 김재열 2014.09.19
5149 출석합니다.... 김재열 2014.12.15
5148 출첵 김건환 2014.07.22
5147 출첵 김건환 2014.07.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