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요약)

1. 레일연마(삭정) 기술의 변천
2. 레일연마(삭정) 관리의 필요성
3.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4. 독일철도 주식회사(DB)의 삭정지침
5. 일본(JR West)의 레일관리 기준


가. 레일표면 결함제거
     차륜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 레일두부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차륜/레일의 동하중이 증가하여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은 발생초기에 제거를 하거나 아예 발생자체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삭정관리가 중요하다.  결함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탈탄층 제거,

     파상마모 제거, 피로에 의한 쉘링층 제거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다.

1) 탈탄층 제거
    레일 제조시 열간 압연을 위해 변태점 이상 기열시, 퍼얼라이트 조직인 레일강의 표면 근처(약 0.2∼0.3mm 깊이)

    의 탄소가 가열로 속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경도가 낮고 산화되기 쉬운 금속조직으로 변화된 탈탄층이 생성

    된다. 이러한 탈탄층을 초기에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파상마모 등 여러가지 결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2) 탈탄층 특징
    - 너무 연하여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파상마모나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 레일부설후 삭정을 통하여 0.3∼0.4mm정도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파상마모 제거
    레일표면에 잔류응력 등의 문제로 경도 상의 불균일한 상태가 나타나면 차륜에 의한 rolling load에 의해 이러한

    불균일성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 파상마모는 결국 레일 및 차량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고 또한 공진의 발생이나 동적충격력에 의해 트랙과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궤도가 자갈궤도에 비해 파상마모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쉘링(Shelling, 가공경화층) 제거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레일두부 상피층에 말텐사이트조직의

    가공경화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초기에는 0.05mm 깊이로 발생하지만 레일 삭정을 통해 경화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공경화층 깊이가 0.2mm를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레일 삭정을 해야 한다.

   - 첨부내용 중 일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338 레일 집중연마 실효성 및 레일 수명증대 방안 송정석 2013.06.14
337 레일 파상마모 연마에 의한 궤도 침하 억제효과 [1] 송정석 2013.06.14
336 레일연마에 따른 고속철도 레일 피로수명 평가 송정석 2013.06.14
335 레일연마의 경제성 [2] 송정석 2013.06.14
334 레일연마의 목적과 잇점 [1] 송정석 2013.06.14
333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분석 송정석 2013.06.14
332 레일연마차 송정석 2013.06.14
331 레일연마차 기능 및 레일마모 손상 형태 [2] 송정석 2013.06.14
330 레일연마차 종류 비교 [4] 송정석 2013.06.14
329 레일연마차에 대한 설명 [3] 송정석 2013.06.14
328 레일용접부 요철 제거의 국부연마 효과 분석 [1] 송정석 2013.06.14
327 비대칭 레일연마를 중심으로(인천메트로의 레일관리) [2] 송정석 2013.06.14
326 시공 및 품질관리 계획(전라선 고속화구간 레일연마) [1] 송정석 2013.06.14
325 해외철도의 레일연마에 관한 최근 동향 송정석 2013.06.14
324 철도보선장비-기계류 [11] 김희애 2013.12.05
323 철도보선장비-장비류 [15] 김희애 2013.12.05
322 철도보선장비-이동기기 [3] 김희애 2013.12.05
321 철도보선장비-측정기기 [9] 김희애 2013.12.05
320 철도보선장비-제표,시설물 [7] 김희애 2013.12.05
319 철도보선장비-수공구 및 기타악세사리 [8] 김희애 2013.12.05
318 MTT 작업 방법 [12] 김현주 2014.04.20
317 철도 기계화 보수장비 [8] 송정석 2014.08.28
316 레일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한 경부 고속선 레일연마 기준(안) [2] 송정석 2015.01.17
315 비파괴 초음파 검사 : (제3장) 초음파탐상 관련 규격 (2-2) [11] 송정석 2015.04.04
314 비파괴 초음파 검사 : (제3장) 초음파탐상 관련 규격 (2-1) [15] 송정석 2015.04.04
313 비파괴 초음파 검사 : (제2장) 초음파탐상 검사 [8] 송정석 2015.04.04
312 비파괴 초음파 탐상 : (제1장) 초음파탐상 시험의 원리 [9] 송정석 2015.04.04
311 철도 레일 결함의 고속 검출을 위한 비접촉식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탐상 시스템 연구 [1] 송정석 2015.04.04
310 모터카 제동거리 계산식 [15] 송정석 2015.04.09
309 레일 연마의 품질보증과 최적 연마 전략 (이학규,이종수,이기승,조선규) [1] 송정석 2015.04.15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