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도상 분니현상.jpg


사진첨부가 되지않아 다시 올립니다. 분니현상이 맞는거지요?? 이또한 노반에서 올라온건가요?

  • ?
    sambbing 2017.07.03 09:46
    생김새로 보아하니 인천2호선인듯? 하네요..
    콘도상에 분니라... 제 소견으로는 분니는 아닌것 같구요..
    체결구 주변 콘도상 상면 그라인딩 한 것처럼 보이는데요..
    선/후배님들 의견은 어떠하신지요??
  • ?
    크크섬 2017.07.03 22:34
    저도 글라인딩 한 것으로 보이는데...
    물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라면 '콘크리트 백화현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profile
    송정석 2017.07.03 23:09
    콘크리트도상 직결궤도에서 위 사진처럼 앵카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스파이크 캡을 이용 스파이크로 체결할 경우 열차 진동으로 인하여 스파이크가 풀리면서 상판과 도상간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일부 이러한 현상도 있으나 위 사진은 체결구 또는 다른 어떠한 보수 작업을 한 후 그라인딩 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 ?
    궤도쟁이 2017.07.04 20:27
    아~감사합니다.^^ 인천2호선 맞구요 작년에 그라인딩을 하긴했는데..최근에 그라인딩은 작업은 한적은 없습니다.
    콘도상에 공극도 발생되구요..움...교량부라..크크섬님 말씀대로 백화현상일까요?
  • profile
    송정석 2017.07.04 22:36
    교량부는 일반 콘도상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교량부에서는 레일과 교량부 거더가 서로 다르게 신축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거더 시공시 한쪽은 신축이 되도록 가동형으로 한쪽은 신축이 되지 않도록 고정형으로 시공을 대부분 하고 있습니다.
    하절기 시 가동단 거더에서 신축량이 한쪽 방향으로 신축을 하면서 콘도상 즉 레일과 체결구를 함께 신축할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때 레일은 별도 신축을 하려고 하므로서 상충할 시 심하면 콘크리트도상에 균열이 발생되고 위 사진과 같이 체결구에서 공극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교량부에 레일을 시공시 종방향활동체결구를 부설하여 레일이 반대방향으로 신축하지 않도록 크립과 레일사이 공극을 두어 거더가 신축할 시 레일에 영향을 주지 않게됩니다. 이러한 사례로는 2호선 당산철교에 부설한 바 있습니다. 당산철교는 콘크리트도상으로 체결구는 직결궤도로 되어 있습니다. 물론 장대레일이다 보니 교량용 신축이음매를 부설(스트로크가 ±500mm인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않으나 상당히 스트로크가 큰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저가 구매하고 부설한 재료임에도 너무 오래되어 기억이 가물가물...)하였습니다. 종방향활동체결구 부설과 신축이음매부설로 균열과 위와 같은 현상을 해소한 바 있습니다. 또한 7호선 청담대교는 자갈도상으로 교량은 라멘구조로 건설되어 콘도상보다 거더와 레일신축이 심하게 상반되게 신축을 합니다. 그래서 거더 위에 종방향활동체결구로 교체하여 신축량을 흡수 유지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야기 하다보니 다른 길로 빠졌네요. 저가 생각하기로는 레일과 거더가 서로 상반되게 신축으로 발생되는 현상일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
    궤도쟁이 2017.07.23 18:14

    바쁘신와중에 답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종방향활동체결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양단)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
    길가는나그네 2017.07.14 13:23
    콘크리트 궤도구조는 토공구간, 교량구간, 터널구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첨부사진은 토공구간인지 교량인지는 구분이 잘되지 않네요.
    어떤 궤도구조인지를 봐야 알겠지만, 사진상으로 본다면 상부궤도슬래브(TCL)와 하부 무근콘크리트기층(HSB)으로 시공되었을 것입니다. (강화노반은 제외하고요)

    콘크리트 궤도구조에서도 분니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반에서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TCL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콘크리트 궤도구간 유지관리 경험입니다)
    HSB시공 후 TCL층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 및 양생 불량시 열차운행으로 인해 초기균열 등에 의한 틈으로의 우수유입과 동절기 동결융해 등으로 인해 분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수 지침에 따라 조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
    궤도쟁이 2017.07.23 18:07
    감사합니다. 교량부 맞습니다. 분니가 발생할 수 있다니..몰랐단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철도도토목 2017.08.09 14:06
    직결식 궤도에서 분니현상이 발생하면 그만큼 유동이 크다는 의미 인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8] 송정석 2019.04.21
질문에 대해 답하기 및 설명 시 50∼500포인트를 적립하여 드립니다. [30] 송정석 2015.06.17
181 특수분기기의 종류 [2] 안재영 2017.07.05
» 콘도상에서도 분니현상이 일어나네요?(2) [9] 궤도쟁이 2017.07.03
179 엔진식 타이템퍼 문의 [1] 조선왕자 2017.06.30
178 레일패드의 다양한 제원이 들어간 자료를 구할 수 없을까요? [1] 채태병 2017.06.29
177 레일단면형상이 들어간 분기기의 CAD도면이 필요합니다.. [1] 채태병 2017.06.29
176 콘도상에도 분니현상이 일어나네요?? [3] 궤도쟁이 2017.06.28
175 철도토목기사 자격증 보유시 취업? [9] 석하스 2017.06.24
174 내일시험이네요....레일 압력의 단위는 상남자 2017.06.24
173 철도토목산업기사 [3] 철도건설 2017.06.19
172 기출문제 암호가 맞지않아 문의드립니다. [4] 깡으니 2017.06.18
171 철도토목기사관련 몇가지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ㅠㅠ phaps 2017.06.17
170 종곡선의 접선장, 편기량 관련 질문입니다ㅠㅠ phaps 2017.06.17
169 용접부 자동 연마기 동영상 [1] 또다른사람 2017.06.16
168 장대레일 재설정 방법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5] 궤도쟁이 2017.05.31
167 암호를 확인해 주세요. [1] 희동이 2017.05.28
166 사진 업로드가 안됩니다. [1] 거북이123 2017.05.26
165 권한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요? [2] secret 철수세미 2017.05.19
164 철도토목기사 실기 시험 자료가 없어 요청합니다. [3] 거북이 2017.05.10
163 출석체크가 안됩니다. [1] 칠삼이 2017.05.10
162 암호 [1] 콩1973 2017.05.05
161 혹시 이번에 광주에서 철도토목기사 시험보시는분 [1] kuys 2017.04.25
160 자갈막이 설치 사진 [3] 해피전파둥이 2017.04.23
159 철도기사 필기 공부법 [7] kuys 2017.04.22
158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 경계부 자갈막이 시공사진 요청 [1] 하늘소 2017.04.20
157 uic60레일에 대해 질문이있습니다 [1] 철도꿈나무 2017.04.11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