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궤간이란 좌우레일의 두부 내측간의 최단거리를 말한다.
2
궤간을 측정하는 방법 즉 궤간선의 정의에는 대체로 다음 두가지가 있다.
1. 레일의 두부상면으로 부터 일정한 치수만큼 내려간 위치(점)에 있어서의 레일두부 내측간의 최단거리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고.
2. 레일의 두부상면으로 부터 일정한 치수 이내에서의 레일두부 내측간의 최단거리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2
앞(1번)의 것은 미국 AREA(미국철도기술협회)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법으로서 미국철도에서는 레일두부상면에서 15.1mm 내려간 위치(점)에서 측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철도에서는 6.25사변후 미국인 철도고문관 Mr. Weeks의 권장에 따라 AREA 방법을 채택,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다만 내려가는 위치를 16mm 점으로 하고 있는 것이 다르다.
2
뒤(2번)의 것은 독일, 프랑스, 일본철도에서 채용하고 있는 방법으로서 독일, 프랑스에서는 두부상면으로 부터 14mm 이나, 일본에서는 재래선(협궤)에선 16mm 이내 신간센에서는 14mm 이내로 하고 있다.
2
양 측정방법의 차이는 내려가는 치수 이내에 있는 레일 후로에 의한 궤간측소 현상이나 편마모에 의한 궤간확대 현상을 궤간에 포함시키느냐 또는 후로나 편마모는 궤간측정에서 무시하느냐에 있다.
즉, AREA 방법은 레일두부내측면의 일정한 위치에서만 소정간격(치수)를 유지하면 되도록 되어 있는데 대하여 여타의 다른 철도의 방법은 레일 후로나 편마모는 궤간측정에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2
레일 후로란 차량주행의 반복압착에 의하여 레일두부면이 문드러져서 궤간내외측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므로 AREA 방법은 레일에 후로가 발생하였더라도 그것이 15.1mm점 이내에 잇는 것이라면 이것은 레일두부 내측면간의 최단거리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2
한편 AREA 방법을 채용하고 있는 우리철도에서 종종 경험하는 예로서는 차량의 도중탈선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탈선원인조사시 사고원인이 편마모에 의한 궤간확대나 또는 레일후로에 의한 궤간축소 등으로 귀책될 수 있는 경우를 모면할 수 있는 이점(?)도 있어 보선의 입장에서는 다행이고 무난한 규정(?) 일런지도 모른다.
2
독일이나 일본의 측정방법은 차량이 곡선부를 통과할 때에는 외궤쪽으로 쏠리면서 주행하는 점을 감안할 때 급곡선의 내궤측에 발생하는 소규모의 후로는 차량주행에 있어 별 문제가 안되는 것임에도 이 측정방법에서는 내궤측 후로도 궤간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2
2
  • ?
    송정석 2013.02.28 13:20
    국유철도건설규칙 : "궤간"이라 함은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6mm 아래지점에서 양쪽레일간의 가장 짧은거리를 말한다.
    철도건설규칙 : "궤간"이란 양쪽 레일 안쪽간의 거리중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하며,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mm 아래지점을 기준으로 한다.(개정된 내용입니다)
  • ?
    김태문 2013.03.26 14:04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즐거운하루 보내세요^^
  • ?
    박주민 2013.04.08 21:4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정원택 2013.04.23 15:16
    정보감사드리며 저는 안전율을 높일려고 14mm로 바뀐줄 알았네요^^*
  • ?
    김철 2013.05.06 10:4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심창섭 2013.05.09 12:55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
    최진우 2013.05.21 08:56
    특히 이음매부에서의 후로우는 궤간이 축소되고
    급곡선부에서는 편마모로 인한 궤간의 확대! 이두가지 현상이 실제 현장에서 자주 발생되지요~~~~
  • ?
    장한수 2013.07.02 22:15
    좋은정보감사합니다.
  • ?
    정동혁 2013.12.09 08:36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정승화 2014.11.22 09:10
    좋은자료 정말 고맙습니다.
  • ?
    이희원 2014.11.28 03:12
    좋은자료 정말 감사해요
  • ?
    민우식 2015.01.11 14:28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 ?
    주주대대 2015.03.18 01:36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
    여비 2015.03.31 11:05
    자료 감사합니다
  • ?
    비베 2015.09.04 16:31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
    백곰작가 2022.07.07 10:58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98 철도공학(캔트) [15] 송정석 2008.10.13
97 장대레일 [24] 송정석 2008.10.30
96 철도공학 ( 3 5 9 쪽 ) [159] 송정석 2006.07.01
95 철도공학 요약정리 (제1∼3장) [39] 송정석 2009.04.26
94 철도공학(기본요약정리) [20] 송정석 2011.09.13
93 철도공학 자료 [12] 조승택 2012.03.07
92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7장 이음매와 레일체결장치 [7] 송정석 2012.09.03
91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6장 분기기 [11] 송정석 2012.09.03
90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5장 도상자갈 [8] 송정석 2012.09.03
89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4장 침목 [10] 송정석 2012.09.03
88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3장 레일 [9] 송정석 2012.09.03
87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2장 궤도구조 및 궤도재료 [7] 송정석 2012.09.03
86 철도궤도재료공학 : 제1장 총론 [7] 송정석 2012.09.03
85 철도공학 궤도재료 (침목편) [5] 송정석 2013.05.08
84 60kg레일과 60K 레일형상(Profile) 비교 [16] 송정석 2011.07.18
83 슬랙량의 축소 효과 [21] 송정석 2011.07.22
82 보통레일과 열처리레일 구분하는 방법 [23] 송정석 2012.03.03
81 망간크로싱 특징 및 상판부설 위치 [22] 송정석 2006.10.19
80 철도공학 분기장치 [15] 송정석 2012.04.12
79 알기쉬운 철도용어 해설집 [19] 송정석 2012.04.24
78 경전철이란? [21] 송정석 2012.05.09
77 궤도구조중 분기부의 문제점과 고속전철의 분기설치 대책 [11] 송정석 2012.07.08
76 철도공학 : 제9장 장대레일 (요점정리) [16] 송정석 2012.07.19
75 장대레일(강태구) [32] 송정석 2012.07.21
74 HSST [6] 송정석 2013.02.07
» 궤간의 정의와 측정법 [16] 송정석 2013.02.28
72 PC 침목 제조방법 (프리텐션, 포스트텐션 공법) [12] 송정석 2013.04.23
71 콘크리트궤도 설명자료 [10] 송정석 2013.08.03
70 철도공학 기본문제 (예상문제) [73] 송정석 2012.01.29
69 궤도역학(209쪽) [3] 송정석 2015.04.04
68 철도공학개론(철도차량부문) [13] 송정석 2015.05.16
67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66 궤도역학 (요점) [27] 송정석 2010.06.15
65 철도공학 (요점) [54] 송정석 2010.06.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